지금까지 svn만 사용해와서 살짝 늦은 감이 있지만, GitHub의 사용법을 공부해보았습니다.
본 포스트에서는 Windows환경에서의 GitHub사용법을 설명하므로 cmd를 사용합니다.
# 목차
-
GitHub 란?
-
GitHub 사용에 필요한 기본 지식
-
GitHub 사용법
# GitHub 란?
GitHub란 개발 중인 소스코드의 버전 관리 및 팀원과의 협업이 가능한 소스코드 관리 서비스 입니다.
GitHub에 저장된 소스코드를 다수의 인원이 열람할 수 있고, 간단한 버그의 관리 및 SNS기능도 있어 언제 어디서든 다른 사람들과의 프로젝트가 가능합니다.
본 글에서는 개별적으로 사용하기 위한 방법 즉, 자신의 GitHub저장소에 소스코드를 저장하고 불러오는 방법에 대해서만 간단히 설명하겠습니다.
# GitHub 사용에 필요한 기본 지식
먼저, GitHub을 사용하기 위해 필요한 용어에 대해 간단히 설명하겠습니다.
1. 저장소(Repository)
저장소란, 파일이나 디렉토리를 저장하는 장소이며, 보통 하나의 저장소에 하나의 프로젝트를 만들어 사용하지만, 사용자에 의해 사용법은 바뀌기도 합니다.
저장소에서는 저장되어 있는 프로젝트의 변경 이력을 관리 및 기록하는것이 가능합니다.
GitHub에는 자신의 PC에서 관리하는 [로컬 저장소]와 서버 등 네트워크에 있는 [원격 저장소]가 존재합니다.
기본적으로 로컬 저장소에서 작업을 하며, 작업한 내용을 원격 저장소에 저장하는 방식으로 사용하고 있습니다.
2. Git과 GitHub의 차이
Git : 로컬 저장소에서 소스코드를 관리하는 툴
GitHub : Git으로 관리하는 소스코드를 저장, 관리 및 공유할 수 있는 플랫폼(= 원격 저장소)
3. 저장소에 저장 및 복제에 사용되는 명령어
-
add : 생성 / 변경 / 삭제 된 파일을 git 인덱스에 추가
-
commit : 파일의 추가나 변경된 파일을 로컬 저장소에 저장
-
push : 로컬 저장소에 저장된 내용을 원격 저장소에 업로드
4. 브랜치(Branch)
브랜치란 버전을 관리를 위해 병렬로 작업을 수행하기 위해 존재하는 기능입니다.
즉, 기존에 있는 프로젝트를 직접 수정하지 않고, 프로젝트를 새로운 브랜치에 복제해, 브랜치에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해주는 기능입니다.
# GitHub 사용법
여기서는 본격적으로 Git과 GitHub의 사용법에 대해 설명하겠습니다.
1. GitHub 계정 등록
GitHub 사이트에 접속한 후, 사용자 이름, 이메일 주소, 비밀번호를 입력하여 계정을 등록합니다.
2. 원격 저장소(Repository) 생성
메인 화면에서 "Create New Repository"버튼을 클릭하여 Repository의 생성화면을 표시합니다.
위 화면을 표시한 후, "Repository name" 항목에 이름을 입력합니다.
또한, 해당 Repository가 어떤 용도를 위한 것인가에 대한 설명을 "Description"항목에 기입합니다.(생략가능)
그리고 필요에 따라, 저장소의 유형을 선택할 수 있습니다.(Public / Private)
마지막으로, 저장소에 README 파일을 만들어 놓고 싶은 경우에는 "Initialize this repository with a README"를 체크합니다.
필요 항목의 입력이 끝난 후, "Create repository"버튼을 눌러 저장소를 생성할 수 있습니다.
3. 로컬 저장소(Git) 생성
GitHub과 연동할 Git 저장소를 로컬PC에 생성합니다. 본 포스트에서는 cmd를 이용해 작업하였습니다.
mkdir HelloWorld // "HelloWorld"라는 디렉토리 생성
cd HelloWorld // "HelloWorld"디렉토리에 이동
git init // "HelloWorld"디렉토리를 Git 저장소로 변환
4. 파일 작성
테스트를 위한 HTML파일 "test.html" 을 로컬 저장소(HelloWorld)에 작성합니다.
<!DOCTYPE html>
<html lang="en">
<head>
<meta charset="UTF-8" />
<title>Hello World</title>
</head>
<body>
<h1>Hello?</h1>
</body>
</html>
5. 파일을 인덱스에 저장(add)
작성한 파일을 git의 인덱스에 저장합니다. 인덱스는 commit을 하기 위해 변경된 내용을 임시로 저장하는 위치입니다.
git add test.html
6. 파일을 로컬 저장소에 commit
인덱스에 저장된 파일을 commit 합니다.
git commit -m "test"
※ 위 커맨드에서 -m 은 commit 에 대한 메시지를 적는 커맨드 옵션입니다. -m "[메시지]"를 적지 않았을 경우,
즉, git commit 만 입력할 경우, 메시지를 입력하기 위한 에디터화면이 표시됩니다.
7. 로컬 저장소의 상태를 확인
로컬 저장소의 변경 및 commit 결과를 확인합니다.
git status
※ git status의 결과에서 변경 된 파일이 있는 경우, 녹색으로 표시되어 있는 [new file: test.html] 부분이 빨간색으로 표시됩니다.
8. 로컬 저장소와 원격 저장소를 연동
git remote add origin http://github.com/[UserName]/[RepositoryName]
ex) git remote add origin http://github.com/[유저명]/Test001.git
9. 로컬 저장소의 파일을 원격 저장소에 반영(push)
git push -u origin master
명령어 입력 후, GitHub의 ID와 Password를 입력하고 나면, GitHub의 Repository에 반영됩니다.
GitHub페이지에서 본인의 Repository로 이동해 파일이 제대로 push되었는가 확인합니다.
GitHub의 사용법을 간단히 알아보았습니다.
정말 간단히
다음 포스트에서는 본 포스트에 이어 GitHub에 저장된 파일 또는 프로젝트를 로컬 저장소로 복제하여 작업을 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하겠습니다.
즉, 본격적인 버전 관리 또는 다른 사람들과의 협력 업무를 하기 위해 브랜치(Branch)를 생성하여 작업을 하는 방법이 되겠습니다.
참고1) https://guides.github.com/activities/hello-world - GitHub Guide
참고2) https://tagilog.tistory.com/377 - [GitHub 사용법] 왕초보를 위한 깃허브사용법 (Git 사용법)
참고3) https://mrw0119.tistory.com/120 - [GibHub] 튜토리얼 - 깃허브 사용법
'Git & GitHub' 카테고리의 다른 글
[GitHub] Visual Studio Code에서 Git커맨드 실행을 시험해보았습니다. (0) | 2020.08.03 |
---|---|
[GitHub] Branch를 이용한 협업 방법을 공부했습니다. (0) | 2020.06.17 |